취업지원유예 신청 & 후기

🤰 임신 중이라 취업지원제도를 신청해도 될까 고민 중이셨나요?
저는 실제로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을 신청해 ‘취업활동계획 수립’부터 ‘출산을 고려한 유예’까지 직접 경험했습니다.
신청도 어렵지 않았고, 출산을 앞둔 예비맘에게도 정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어요!

 

 

 

 

👩‍💼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 신청 과정


2024년 7월,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을 신청한 지 약 한 달 만에 선발 확정 연락을 받았습니다.
이후 전담 상담사 배정을 받아 전화로 첫 상담 일정을 잡고, 대면상담을 총 3회에 걸쳐 진행했습니다.


📄 첫 상담 준비물

  • 증명사진
  • 통장 사본
  • 이력서 (워크넷 등록 시 생략 가능)

🔁 진행 순서 요약

  1. 취업활동계획(IAP) 수립
  2. 취업지원서비스 기간 (8개월 + 3개월 집중 알선 + 최대 6개월 연장)
  3. 사후관리 (최대 3개월)

💰 수당 및 혜택 요약


✅ 구분 📌 내용
IAP 수립 참여수당 기본 15만원 + 추가 3만원 (강의 수료 등)
훈련참여수당 출석률 80% 이상 시 1일 18,000원 (월 최대 284,000원, 최대 6개월)
참여장려수당 30분 이상 집중상담 시 월 2만원 (최대 3개월, 총 6만원)
취업성공수당 취업 성공 시 조건에 따라 지급


🤱 임신/출산에 따른 유예 신청 경험


저는 선발일 기준 임신 27주였고, 임신 및 출산을 이유로 취업지원 유예를 신청했습니다.
유예는 자격 인정일로부터 최대 2년 내, 조건에 맞으면 횟수 제한 없이 가능합니다.


📆 실제 유예 기간

  • 1차 유예: 임신 사유 (60일) - 2024.09.09 ~ 2024.11.03
  • 2차 유예: 출산 사유 (90일) - 2024.11.03 ~ 2025.02.08
  • 3차 연장: 추가 90일 - ~2025년 5월 초까지

📎 유예 사유 예시

    질병,부상으로 구직활동 어려우신 분들은 일4만7천원 지급 받을 수 있는 "➡️ 상병수당" 제도 참고해보세요.

  • 본인/배우자 질병·부상
  • 임신, 출산
  • 직계존비속의 질병 또는 부상
  • 병역법 의무복무
  • 6개월 미만 국외 체류

📢 꼭 알아야 할 포인트


  • 🧾 유예 기간 중에는 내일배움카드 발급도 자동으로 연기 가능
  • 💬 유예 신청은 고용센터 상담사와 논의 후 간단한 서류로 가능
  • 📅 자격인정일 기준 1개월 + 7일 이내 유예 시작 가능


🙌 후기 총정리


임신 중이라 고민이 많았지만, 실제 경험해보니 전혀 어렵지 않았습니다.
필요한 상담만 받으면 수당도 받을 수 있고, 임신·출산 상황에 따라 유예까지 유연하게 적용 가능했어요.
온라인 강의 수료로 추가 수당까지 챙긴 것도 만족스러웠고요 😊


출산 후 복귀할 때 다시 구직을 이어갈 수 있도록, 취업지원제도가 든든한 징검다리가 되어줄 것 같아요.



💬 Q&A


Q1. 임신 중에도 신청 가능한가요?

네! 신청은 언제든 가능하며, 필요 시 유예 신청도 가능합니다.


Q2. 유예 신청하면 수당 못 받나요?

유예 기간 중에는 수당 지급이 정지되지만, 복귀 후 다시 수령 가능합니다.


Q3. 유예 신청 방법은?

고용센터 방문 또는 담당 상담사를 통해 간단히 신청 가능하며, 사유에 따라 자동 연장도 가능합니다.


Q4. 수당은 어떻게 지급되나요?

계좌로 입금되며, 활동 실적 및 출석률 등 조건 충족 시 자동 신청 또는 고용센터 안내에 따라 신청합니다.


Q5. 다시 참여할 수 있나요?

네. 조건 충족 시 3년 후 또는 경과기간에 따라 재참여가 가능합니다.



다음 이전